S33 AWS S3 개념 (2) 오브젝트 오브젝트의 구성Key: 오브젝트의 이름. 가져올 때 호출한다.Value: 저장하고 싶은 어떠한 byte 스트림도 오케이.VersionID: 오브젝트를 버킷에 추가할 때 자동으로 아마존이 생성한다. Key와 더불어 오브젝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.Metadata: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key-value 페어.system-meta data: 생성일 등 생성 관련 정보, 파일 사이즈 등유저 메타데이터: 유저가 오브젝트와 엮은 메타데이터.Sub resources소유자 정보 (acl) 또는 토렌트 파일 등 추가적인 정보. 2024. 9. 15. AWS S3 개념 (1) 왜 이름이 S3인가?- S3라는 이름에 있는 세 개의 S는 Simple Storage Service를 말한다. 데이터 백업은 어떻게 되는가?- 기본적으로 데이터는 특정 Region에 저장된다. 예) us-east-1. - 그런데 힌 리전 안에도, AZ (Availability Zones)라는 곳들이 있고, 각각의 AZ는 독립적인 시설이기 때문에 한 곳이 파괴된다 하더라도 다른 곳들에 데이터가 안전하게 남아있을 수 있다. 세 곳의 AZ에 데이터가 복제되고, 이것을 아마존이 관리해준다. 주요 개념- 오브젝트 (파일) 기반의 스토리지. 파일 단위로 저장된다.- 오브젝트들은 버킷 안에 저장된다.- 한 오브젝트는 5TB 용량까지 가능하다.- 버킷의 사이즈나 전체 데이터 사이즈는 무제한이다.- 버킷마다, 또는 파.. 2024. 9. 15. 사원 모아 사장 개발 일지 (6) AWS S3 스토리지와 어드레서블 해야 한다는 걸 항상 알고 있었으나 굳이 안 했던 것... 바로 Amazon Web Services의 S3 스토리지와 어드레서블을 사용하는 것이다. 어드레서블을 사용하긴 했었다. 그런데 로컬에서만 사용했기 때문에, 사실 그렇게 큰 의미는 없었다. 여기서 말하는 '큰 의미'가 무엇이냐. 바로 '리소스 몇 개 바뀌었다고 빌드를 다시 뽑아야 하는 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'이다. 예를 들어 이미지 하나가 잘못 들어갔다. 윽 ! 다시 빌드해서 플레이스토어에 새 빌드 등록 - 이 아니라, AWS S3 저장소에만 리소스 관련 파일을 올려주면 게임 실행파일에서 알아서 업데이트된 리소스를 받고 메인 게임에 들어가는 것이다. 튜토리얼이 여기 저기 꽤 있었는데, 가장 깔끔하고 유용했던 것은 이 영상이다. https:/.. 2024. 1. 8. 이전 1 다음